![]() |
[고성=뉴시스] 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전 강원 고성군 제진역에서 열린 동해선 강릉~제진 철도건설 착공식이 끝난 뒤 서명판에 서명한 뒤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2.01.05. |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9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브리핑에 없는 대통령 이야기-31회'글을 통해 행사 전날 문 대통령이 이번 행사에 대해 이같은 설명을 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 대해 "관광산업 활성화와 유라시아로 뻗어갈 경제 철도의 의미도 언론이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강릉-제진 철도 착공식보다 일주일 정도 앞선 지난해 12월 28일엔 동남권 4개철도 개통식에 참석했다.
![]() |
[울산=뉴시스] 김진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울산 태화강역에서 열린 동남권 4개 철도건설사업 개통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12.28. |
박 수석은 "이 역시 국가균형발전의 거대한 여정임에도 언론과 정치권은 그저 그런 지역 SOC(사회간접자본) 사업 중 하나로 여기는 분위기였다"며 "심지어 일부에서는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이 노골적으로 선거에 개입하려는 것이라는 의심을 하기도 하니 국가균형발전의 대의가 빛을 발하지 못한 것이 참으로 아쉽다"고 토로했다.
박 수석은 문재인 정부의 국가균형발전의 개념이 초광역협력을 핵심으로 하는 '국가균형발전 2.0'이라고 설명하며 "초광역협력을 위해서는 권역 내 주요 거점을 잇는 교통망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 수석은 "비수도권은 광역철도가 절대적으로 미비해 단일 경제·생활권 형성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데 현재 운영 중인 광역철도가 수도권이 8개인 반면 비수도권은 0개일 정도로 심각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0월12일 주례회동에서 "1일 생활권이 돼야 초광역권이 성공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이 교통망"이라고 했다. 이어 11월9일 주례회동에서도 "초광역협력을 위해서는 결국 교통망이 중요하다 거점과 거점 간 철도가 연결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수석은 "수도권과 지방이 상생하는 국가균형발전은 임기 마지막까지 놓칠 수 없는 과제"라며 "끝까지 최선을 다한다면, 문재인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2.0'이 다음 정부에서 활짝 꽃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