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정치

日정부, 1일 유네스코에 사도광산 추천...양국 TF구성해 '역사전쟁'

조은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2.01 00:18

수정 2022.02.01 00:18

日니가타현 사도광산, 조선인 징용 현장 
내년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목표
韓 반발, 양국 TF구성해 역사전쟁 격화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로이터 뉴스1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로이터 뉴스1
【도쿄=조은효 특파원】 일본 정부가 1일 각의(한국의 국무회의격)를 거쳐, 일제 강점기 조선인 징용 현장인 사도광산을 202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시키기 위한 정식 추천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한다. 이날이 내년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접수 마감일이다. 한국의 반발에도 일본 정부가 등재 추진을 강행함에 따라 양국간 징용 등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역사전쟁이 한층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의 신청에 따라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회의회(ICOMOS·이코모스)는 현지 조사를 포함해 약 1년 반 동안 심사를 진행한다. 최종 결정 시기는 내년 6~7월이다.

당초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절차상 한국이 반대하는 상황에서는 심사를 통과하기 어렵다고 판단, 내년 이후 등재를 추진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었다.
하지만 아베 신조 전 총리 등 극우세력이 이런 구상에 강하게 반발하고 나서면서, 결국 강행으로 입장을 변경했다. 아베 전 총리는 이번 사안에 대해 "역사전쟁"이라며 극우여론을 자극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AP뉴시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AP뉴시스

사도 광산은 일제 강점기에 전쟁 물자 등을 확보하는 광산으로 주로 활용됐으며, 일제는 노동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조선인을 대거 동원했다.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설치, 한국의 주장을 반박할 논리를 개발할 예정이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 1월 28일 "(사도광산이) 높은 가치에도 불구하고 이번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 대한 여러 논의·의견이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며 "관계 부처가 참가하는 세계유산등록 등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설치해 역사적 경위를 포함한 여러 논의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도 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교육부, 문화재청 등 관계기관과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일본의 시도에 대응할 계획이다.


앞서 일본 정부는 조선인 강제 동원 현장인 하시마(일명 '군함도')를 2015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과정에서 강제 노역 역사를 알리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국제사회와 약속했으나, 현재까지도 이를 이행하기는 커녕, 되레 하시마에서 강제 징용이 없었다고 역사왜곡을 자행하고 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fnSurvey